티스토리 뷰
목차
“부가세 신고, 매번 헷갈려요!”
매년 1·7월(개인 일반과세자 기준), 혹은 1월(간이과세자)은 ‘세금 폭탄’과 ‘환급 기회’가 엇갈리는 순간입니다.
아래 7가지만 지켜도 가산세 0원·스트레스 0%에 더 가까워집니다.
(글 하단에 ‘체크리스트 카드’ 이미지 링크가 있으니 SNS로 공유해 주세요!)
1️⃣ 신고 D–30 : “자동 불러오기” vs 실제 매출 대조
홈택스의 매출·매입 자동 불러오기는 편리하지만 100% 완벽하진 않습니다.
- 카드 빈 매출, 승인 지연 세금계산서, 누락된 현금영수증 확인
- 전표·POS 매출과 대조 필수
- 최소 한 달 전에 대조를 마쳐야 수정 전표도 받기 쉽습니다
2️⃣ 신고 D–14 : 예정(고지) 세액 확인 후 예상 납부액 확보
예정신고(법인)·예정고지(개인) 금액이 확정 신고 시 자동 차감됩니다.
홈택스 > 부가가치세 예정고지세액 조회 메뉴를 통해 금액 확인 후 자금 준비를 하세요.
3️⃣ 신고 D–7 : 홈택스 임시저장 & 손택스 푸시 알림 설정
신고서 작성 도중에는 반드시 [임시저장]을 눌러주세요. 접속 만료, 오류 발생 시 데이터 복구에 필수입니다.
‘손택스’ 앱의 푸시 알림 설정을 통해 마감 전날, 3일 전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.
4️⃣ 신고 D–5 : 매입 불공제 항목 최종 점검
대표 불공제 항목 | 이유 (주요 코드) |
---|---|
승용차 관련 비용 | 업무용 100% 입증 어려움 |
접대·경조사비 | 소비성 지출 |
간이영수증 | 법정 증빙 미흡 |
가정용 가구·전자제품 | 사업 관련성 불명 |
이 항목들을 실수로 공제하면 과소신고 가산세 10~40%가 부과됩니다.
5️⃣ 신고 D—3 : 신고·납부를 같은 날 끝내라
“제출만 하고 납부를 깜빡” → 납부불성실 가산세 2.5/10,000 × 일수
홈택스의 계좌이체, 카드, 간편결제 기능으로 신고와 납부를 동시에 마감하세요.
6️⃣ 신고 D—1 : 전자(세금)계산서 승인·전송 여부 재확인
전자세금계산서 발행 → 국세청 전송까지 완료되어야 매출·매입에 반영됩니다.
홈택스 > 발급/수취 목록에서 '전송 실패'·'승인 대기' 건은 클릭 후 재전송하세요.
7️⃣ 신고 직후 +α : 접수증·납부서 PDF 저장 & 클라우드 백업
접수번호·납부영수증은 대출, 정부지원금, 세무조사 등 상황에서 활용됩니다.
홈택스 > 신고내역 조회 → PDF 다운로드 → 클라우드, 이메일 이중 저장 추천!
✅ 체크리스트 PNG 받기
부가세 신고 꿀팁 7가지|누락 없이 신고하려면 이렇게 하세요
매년 1월, 7월은 세금으로 울고 웃는 달입니다. 특히 부가가치세 신고는 초보 사장님, 프리랜서, 자영업자분들에겐 항상 어렵고 스트레스 가득한 시기죠. 하지만 아래 7가지 꿀팁만 기억하면, 실
rjs3201.com
TIP: 카카오톡·인스타 스토리에 공유하면 팀원도 마감 잊지 않아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