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1. 왜 아빠도 쉬어야 할까?
아내의 출산은 가족 모두의 생활 패턴을 바꾸는 큰 사건입니다. 산모는 회복이 필요하고, 신생아는 하루 종일 돌봄이 필요합니다. 아빠의 동행과 휴식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.
법으로 보장된 아빠의 권리
- 배우자 출산휴가는 법으로 보장된 유급휴가입니다.
- 2025년부터 10일 → 20일로 확대
- 최대 3회로 나누어 사용 가능
- 출산일 기준 120일 이내 사용
2. 배우자 출산휴가 신청 준비
1) 휴가 사용 알리기
사업주에게 휴가 사용 계획을 알리고 다음 서류를 준비합니다.
- 출산 사실 증명: 출생증명서, 가족관계증명서
- 배우자 관계 증명: 혼인관계증명서
- 휴가 신청서: 회사 지정 양식
2) 휴가 사용 유의사항
휴가는 출산일 기준 120일 이내에 모두 사용해야 하며, 필요에 따라 최대 3회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3. 배우자 출산휴가 확인서 제출
사업장은 배우자 출산휴가 확인서를 작성해 고용센터(고용24)에 제출합니다. 이는 급여 신청 요건이므로 미리 사업장 담당자에게 확인해 두면 좋습니다.
4.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신청
휴가가 끝난 후 근로자는 고용24 온라인으로 급여를 신청합니다.
신청 기간
- 휴가 시작일 이후 1개월부터
- 휴가가 끝난 날로부터 12개월 이내 반드시 신청
늦으면 지원금을 놓칠 수 있으므로 휴가 종료 직후 신청을 추천합니다.
사업주 대위 신청
회사가 급여 일부를 지급했다면 사업주가 대신 신청(대위 신청)할 수 있습니다.
5. 제출 서류
- 배우자 출산휴가 확인서(사업장 제출이 안 된 경우 개인 제출)
- 휴가 시작 전 3개월 급여명세서 또는 임금대장
- 휴가 기간 급여 지급 내역(은행 이체 내역 등)



아빠도 쉴 권리 있다! 배우자 출산휴가 이렇게 신청하세요
6. 급여 지급 절차
고용센터에서 요건과 제한 사유를 검토한 뒤, 14일 이내(평일 기준) 신청 계좌로 급여가 입금됩니다.
7. 급여 금액
- 통상임금 기준 지급
- 상한액: 1,607,650원
- 하한액: 최저임금액
회사에서 이미 일부 급여를 지급한 경우, 정부 지원금과 합산해 통상임금을 초과하면 초과분은 조정됩니다.
8. 아빠들을 위한 활용 꿀팁
- 출산 예정일에 맞춰 미리 서류 준비
- 분할 사용: 출산 직후, 산후조리원 퇴소 시, 예방접종 시기 활용
- 휴가 중 회사 연락 차단, 가족에게 집중
- 기저귀 갈기, 목욕 등 실전 육아 배우기
9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은 다른가요?
→ 네, 출산휴가는 20일 유급휴가이고 육아휴직은 최대 1년까지 가능합니다.
Q2. 프리랜서도 가능한가요?
→ 근로자(고용보험 가입자)만 해당됩니다.
Q3. 120일 지나면 사용할 수 있나요?
→ 법적으로 불가합니다.
Q4. 급여 지급은 언제 되나요?
→ 서류 심사 후 통상 14일 이내 지급됩니다.
결론: 아빠도 쉬어야 가족이 행복하다
배우자 출산휴가는 이제 눈치 보며 쓰는 휴가가 아닌 당당히 누릴 권리입니다. 서류를 준비하고 사업주에게 알린 뒤, 고용센터 급여 신청까지 잊지 마세요. 아빠의 휴식은 가족의 행복과 직결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