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전기차를 가장 합리적으로 사는 방법? 국고·지자체 보조금 + 세액공제를 함께 받아 체감가를 낮추는 것입니다. 2025년 바뀐 기준, 계산법, 신청 절차, 주의사항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1. 전기차 세액공제 지원금이란?
보조금은 차량 가격에서 즉시 차감되는 금액, 세액공제는 종소세·법인세에서 감면되는 금액입니다. 두 제도는 성격이 달라 동시에 적용이 가능합니다.
- 보조금: 국고 + 지자체가 지급(출고·등록 후 반영)
- 세액공제: 연말정산·종소세·법인세 신고 시 반영
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2. 2025년 변경 핵심
- 지원 상한가 조정: 5,500만 원 이하 전액, 5,500만~8,500만 원 구간은 감액, 8,500만 원 초과 제외
- 세액공제 한도(개인/법인): 개인 최대 300만 원, 법인·사업자 최대 500만 원
- 고가 차량 감액 강화: 상한 초과 시 보조금·세액공제 모두 축소
예시 — 차량가 5,400만 원: 국고·지자체 보조금 + 세액공제 모두 대상
3. 세액공제 계산 방법
① 개인(근로자·개인사업자)
- 차량가 5,500만 원 이하: 최대 300만 원
- 5,500만~8,500만 원: 한도 감액 적용
- 8,500만 원 초과: 대상 제외
② 법인·사업자
- 차량가 5,500만 원 이하: 최대 500만 원
- 상한 초과 구간: 감액
구분 | 차량가 | 세액공제 한도 | 비고 |
---|---|---|---|
개인 | ≤ 55,000,000 | 300만 원 | 초과 구간 감액 |
법인·사업자 | ≤ 55,000,000 | 500만 원 | 사업용 등록 권장 |
③ 간단 시뮬레이션
- 차량가 54,000,000원(개인) → 보조금(국고+지자체 가정) 9,80만원 + 세액공제 300만원 → 체감가 약 4,22백만 원
- 차량가 54,000,000원(법인) → 보조금 동일 가정 + 세액공제 500만원 → 체감가 추가 하락
* 보조금은 차종·지역에 따라 달라지며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단순화 계산입니다.

4. 보조금과 세액공제, 중복 받을 수 있나요?
가능합니다. 보조금은 구매가에서 차감, 세액공제는 세금에서 감면이므로 제도 목적과 집행 주체가 달라 동시 적용이 됩니다.
합산 예시
차량가 54,000,000 → 국고+지자체 9,80만원 가정 → 세액공제 300만원(개인) → 총 절감 약 1,280만원
차량가 54,000,000 → 국고+지자체 9,80만원 가정 → 세액공제 300만원(개인) → 총 절감 약 1,280만원
5. 신청 방법
① 보조금(판매사와 함께 진행)
-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차종·지역 예산 확인
- 차량 계약 → 보조금 신청서 작성(대리 가능)
- 출고·등록 후 보조금 지급
② 세액공제(본인 신고)
- 서류 준비: 매매계약서/세금계산서, 등록증, 사업자용은 운행일지 등
- 개인: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반영
- 법인: 법인세 신고 시 반영
- 전자신고: 국세청 홈택스 이용
6. 주의사항 체크리스트
- 등록일 기준 적용: 계약일이 아닌 최초 등록 기준
- 중고·리스: 일부만 대상(계약 구조에 따라 상이)
- 세액공제는 해당 연도에만 적용 가능(이월 X)
- 보조금 받은 차량은 의무운행기간 내 매도 시 환수 가능
- 사업자 차량은 사업용 등록·증빙 필수
7. 지역별 보조금 예시
지자체 예산·소진 속도에 따라 변동됩니다. 대략적인 예시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서울: ~200만 원
- 경기: ~300만 원
- 부산: ~250만 원
* 실제 액수는 차종·배터리 용량·지역 정책에 따라 상이. 구매 전 반드시 거주지/사업장 지자체 공고 확인.
8. 절세 효과 극대화 팁
- 출고 시기 조절: 연말 몰림보다 연초 출고가 한도 소진·서류 여유 측면에서 유리
- 카드 혜택 병행: 항공/주유/쇼핑 특화 카드의 청구할인·적립까지 3중 혜택
- 법인: 감가상각/유지비 증빙 정리 → 세액공제와 별개로 절세 효과 확대
- 보험·충전요금까지 총소유비용(TCO) 기준으로 비교
9. 실제 사례
사례 A(개인) — 차량가 53,000,000원
보조금(가정) 7,00만원 + 세액공제 300만원 → 체감가 약 4,00백만 원대
보조금(가정) 7,00만원 + 세액공제 300만원 → 체감가 약 4,00백만 원대
사례 B(법인) — 차량가 54,000,000원 × 2대
보조금(가정) 1,400만원 + 세액공제 1,000만원 → 도입 비용 크게 절감
보조금(가정) 1,400만원 + 세액공제 1,000만원 → 도입 비용 크게 절감
* 금액은 이해를 위한 예시입니다(실제 보조금·세액공제는 차종·지역·시점에 따라 다릅니다).




Q1. 중고 전기차도 세액공제가 되나요?
일반적으로는 신차 중심입니다. 다만 정책·조건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어 구매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.
Q2. 보조금만 받고 세액공제는 다음 해로 이월할 수 있나요?
세액공제는 구매 연도에만 적용됩니다(이월 불가).
Q3. 8,500만 원 초과 차량은 방법이 없나요?
2025년 기준 고가 차량은 보조금·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 리스·렌트 조건 최적화 등 총소유비용 관점의 대안이 필요합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