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청년·중장년 동반채용으로 3년 적립, 기업부담 ‘제로’ 모델
서울시는 중소기업 인력난과 고용 미스매치를 낮추기 위해 ‘서울형 이음공제’를 신설했습니다. 청년(만 19~39세)과 중장년(만 50~64세)을 동반 채용하고 고용을 유지하면, 기업·근로자·서울시·정부가 매월 총 34만 원을 공동 적립하는 구조입니다. 근로자는 3년 이상 근속 시 1,224만 원 + 복리이자를 수령하고, 기업은 고용유지 1년 후 납입액 전액 환급을 받아 실질 부담 없이 인재를 붙잡을 수 있습니다. (최종 업데이트: 2025-07-21, 예산 소진형)
1) 누가 참여할 수 있나
- 기업 대상: 서울 소재 중소·중견기업
- 근로자 대상: 서울시민 청년(만 19~39세) + 중장년(만 50~64세)
- 채용 형태: 신규 채용 또는 재채용 동반 채용(두 연령대 동시 참여)
2) 적립 구조·금액
- 월 적립: 서울시·정부·기업·근로자가 합산 월 34만 원 공동 적립
- 근속 보상: 3년 이상 근속 시 근로자 1인당 총 1,224만 원 + 복리이자 수령
- 기업 환급: 청년·중장년 동반 채용 후 1년 이상 고용유지 시 ‘서울형 세대이음 고용지원금’으로 기업 납입액 전액 환급 → 실질 부담 0원
계산 예시) 34만 원 × 36개월 = 1,224만 원(이자 별도). 이자는 약정 및 운용 수익에 따라 변동.
3) 누구에게 어떤 이점이 있나
기업
- 청년·중장년 동반 채용으로 팀 시너지·경력 밸런스 구축
- 1년 고용유지 시 기업 납입금 100% 환급 → 실부담 없이 장기근속 유도
- 기술 이전·융합 성과 우수 기업은 ‘세대 간 상생 고용 우수기업’ 포상(연 1회)
근로자
- 3년 근속 시 1,224만 원 + 복리이자 보상으로 자산 형성
- 중소·중견–대기업 간 임금 격차 보완, 장기 커리어 설계 유리
![[2025 최신] 서울형 이음공제 신청 가이드|자격·서류·기간 한눈에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681hv/btsPTVInkv3/AAAAAAAAAAAAAAAAAAAAANa2X3U5XEm3YGeh8Gbo_Gnd0z1tXMzKe83Rz3UV3PU9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566523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Hp0SSEjnNb4wvBUHvQ%2B7HY1r%2Bh4%3D)
4) 내일채움공제와 비교
구분 | 내일채움공제(기존) | 서울형 이음공제(신규) |
---|---|---|
기업 3년 부담 | 약 828만 원 | 기본 288만 원(시·정부 540만 원 지원) |
추가 지원 | 일반적 환급 없음 | 1년 고용유지 시 기업 납입액 전액 환급 → 실부담 0원 |
근로자 수령 | 제도별 상이 | 3년 근속 시 1,224만 원 + 이자 |
정리: 이음공제는 기업 초기부담을 크게 낮추고, 고용유지 성과가 나면 실부담을 0으로 만드는 구조.
5) 신청·진행 절차(타임라인)
- 1차 선정: 서울시가 기업·근로자 1차 선정
- 최종 검토: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(중진공) 최종 심사
- 시행 시점: 2025년 9월부터 본격 시작
- 적립·운영: 매월 34만 원 공동 적립
- 기업 환급: 고용 1년 유지 시 기업 납입액 전액 환급(서울형 세대이음 고용지원금)
- 근로자 수령: 3년 이상 근속 시 1,224만 원 + 이자 수령
6) 모집 규모·지원 기간
- 모집 방식: 예산 소진 시까지 접수(선정·가입)
- 규모: 청년 350명, 중장년 150명
- 지원 기간: 2025년 가입자 기준 2028년 하반기까지 3년 예산 지원
- 향후: 올해 신청 추이에 따라 내년 이후 신규 가입 지속 추진
7)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동반 채용이 꼭 필요한가요?
네. 서울시민 청년(19~39)과 중장년(50~64)을 함께 채용(또는 재채용)해야 합니다.
Q2. 기업은 실제로 비용이 하나도 안 드나요?
기본 구조상 기업부담은 3년 합계 288만 원으로 낮아집니다. 다만 1년 이상 고용유지 시 ‘서울형 세대이음 고용지원금’으로 기업 납입액 전액 환급되어 실질 부담 0원이 됩니다.
Q3. 근로자가 중도 퇴사하면?
중도 퇴사 시 약정·공제 규정에 따른 정산이 이뤄집니다. (세부 환급·정산 방식은 사업 공고문 기준)
Q4. 어디서 신청하나요?
서울시 공고 및 중진공 절차에 따릅니다. (모집 공고·세부 약정·신청서 양식·기한을 확인하세요)
8) 최종 체크리스트
- 기업 소재지: 서울 ✔
- 채용 대상: 서울시민 청년(19~39) + 중장년(50~64) 동반 ✔
- 적립 구조: 월 34만 원 공동 적립 ✔
- 기업 환급: 1년 고용유지 → 전액 환급 ✔
- 근속 보상: 3년 근속 → 1,224만 원 + 이자 ✔
- 모집 규모: 청년 350 / 중장년 150 (예산 소진형) ✔
- 시행: 2025년 9월 본격 시작, 2028년 하반기까지 3년 지원 ✔
※ 본 문서는 제공된 안내를 요약·정리한 것으로, 세부 요건·절차는 공식 공고문을 최우선으로 확인해 주세요. (제공처 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