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당신의 손에 닿는 진짜 월급은 얼마일까요?
🌱 시작하며 : “왜 이렇게 월급이 적지?”
2026년에도 많은 분들이 월급을 받는 날 이렇게 말할 겁니다.
“어? 월급에서 또 뭐가 빠졌지?”
“최저임금 오른다더니 체감이 안 돼…”
하지만 사실, 월급명세서를 들여다보면
빠진 게 아니라 정상적인 공제가 대부분입니다.
그 중 대표적인 게 바로 4대보험 공제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
2026년 최저임금 기준으로
4대보험 공제 후 실제 받는 월급(실수령액)을
따뜻하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.
💰 2026년 최저임금, 정확히 얼마인가요?
- 시간당 10,320원
- 주 40시간 × 4.34주 = 209시간
- 209시간 × 10,320원 = 2,156,880원
👉 이것이 2026년 최저임금 월급 환산액(세전)입니다.
📊 왜 4대보험을 공제하나요?
우리가 받는 월급에서 빠지는 항목들:
구분 | 이유 |
---|---|
국민연금 | 나중에 연금 받기 위해 |
건강보험 | 병원비 절감, 보험 혜택 |
장기요양보험 | 노후 대비(건강보험 부가 항목) |
고용보험 | 실업급여, 출산휴가 지원 |
✅ 4대보험 공제는 단순히 돈이 빠지는 게 아닙니다.
- 미래를 위한 투자
- 나와 가족을 지키는 안전망
지금 당장은 부담스러워도,
꼭 필요한 제도입니다.
🧮 2026년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 계산
✔️ 월급 2,156,880원(최저임금 기준)의 경우
항목 | 비율(근로자 부담) | 금액 |
---|---|---|
국민연금 | 4.5% | 97,060원 |
건강보험 | 3.545% | 76,539원 |
장기요양보험 | 건강보험료의 12.81% | 9,812원 |
고용보험 | 0.9% | 19,412원 |
총 공제액 | - | 202,823원 |
▶️ 실수령액
2,156,880원 - 202,823원 = 1,954,057원
👉 실제 손에 쥐는 월급은 약 195만 4천 원 정도입니다.
🔍 4대보험 공제 계산 자세히 보기
보험명 | 계산 방식 | 금액 |
---|---|---|
국민연금 | 2,156,880 × 4.5% | 97,060원 |
건강보험 | 2,156,880 × 3.545% | 76,539원 |
장기요양보험 | 건강보험 × 12.81% | 9,812원 |
고용보험 | 2,156,880 × 0.9% | 19,412원 |
🙋♂️ 왜 이렇게 많이 빠지나요?
“최저임금 올랐다는데, 왜 체감이 안 될까요?”
그 이유는
최저임금 = 세전금액
실수령액 = 세후금액이기 때문입니다.
🫱🏻🫲🏼 사업자와 근로자가 함께 알아야 할 부분
✅ 사업자는?
- 월급명세서에 정확히 표기해야 합니다.
- 직원에게 “왜 이만큼 빠졌는지” 설명해 주세요.
- 사장님도 4대보험 부담금이 따로 있습니다. (근로자와 반반 부담)
✅ 근로자는?
- 급여명세서 확인은 내 권리입니다.
- 정확히 알고, 나의 월급을 스스로 챙기세요.
- 억울하게 보험 안 내면, 나중에 연금·실업급여 못 받습니다.
🌿 위로의 말 : 나도, 사장님도 힘든 시대
우리는 모두 한 배를 타고 있습니다.
- 근로자는 최저임금으로 빠듯한 삶
- 사장님은 인건비 상승으로 경영 부담
그래서 더더욱 정확한 정보와 이해가 필요합니다.
🧑💼 알바생·비정규직도 4대보험 가입해야 하나요?
네, 조건에 따라 의무가입입니다.
✅ 국민연금
월 60시간 이상 근무(또는 월 8일 이상)
✅ 건강보험
월 60시간 이상 근무(또는 월 8일 이상)
✅ 고용보험
1인 이상 사업장 근무 시 무조건 가입
💡 알면 유용한 팁
1️⃣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
소상공인·영세사업장은
4대보험료의 최대 90% 지원
2️⃣ 근로장려금도 챙기세요
연 소득 일정 기준 이하면
근로장려금(최대 330만 원) 신청 가능
📣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 간단 계산법
총 급여 | 공제액(약 9.4%) | 실수령액 |
---|---|---|
2,156,880원 | 약 202,823원 | 약 1,954,057원 |
📌 체크리스트 : 내 월급 건강하게 챙기기
항목 | 체크 |
---|---|
급여명세서 받기 | ✅ |
공제항목 확인 | ✅ |
4대보험 가입 여부 확인 | ✅ |
두루누리·근로장려금 신청 여부 체크 | ✅ |
🌈 마무리 : 우리가 서로 위로해야 하는 이유
2026년에도 우리는 고군분투할 겁니다.
하지만
최저임금이 올라도, 공제금액을 알고 이해하면 덜 억울합니다.
사업자도, 근로자도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면 더 따뜻해집니다.
“월급이 적어도, 당신의 노력이 적은 게 아닙니다.”
하루하루 버티는 우리 모두에게
작지만 정확한 정보가 위로가 되길 바랍니다.